퍼머넌트 웨이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머넌트 웨이브(Permanent Wave)는 화학적 작용과 물리적 작용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변화시키는 미용 기술이다. 1872년 마르셀 그라토가 열을 이용한 초기 펌 방식을 고안한 이래, 20세기 초 독일의 카를 네슬러가 '나선형 열 방식'을 개발하며 발전했다. 1920년대 후반 일본을 거쳐 한국에 도입되었으며, 1930년대 메이 우시야마와 야마노 아이코 등 선구적인 미용사들이 기술 보급에 기여했다. 펌은 화학 약품, 가열 방식, 기타 기술에 따라 콜드 펌, 핫 펌, 디지털 펌 등으로 분류되며, 모발의 시스틴 결합을 환원, 산화 반응을 통해 형태를 변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펌은 여성의 사회 진출, 유행, 미적 기준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젠더 논쟁과도 관련되어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리 모양 - 장발
장발은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길게 기른 상태를 지칭하며, 생존에 유리한 기능과 건강 및 생식 잠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 그리고 권력, 부, 종교적 헌신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한다. - 머리 모양 - 삭발
삭발은 머리카락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행위로, 종교적 의례, 사회적 지위, 형벌, 패션, 미용 등 다양한 목적과 의미를 지닌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퍼머넌트 웨이브 | |
---|---|
헤어스타일 | |
![]() | |
종류 | 헤어스타일 |
설명 | 화학적 또는 열적 과정을 통해 모발에 컬이나 웨이브를 만드는 헤어스타일 |
역사 및 종류 | |
발명 | 찰스 네슬러 (1906년) |
종류 | 콜드 웨이브 디지털 펌 바디 펌 뿌리 펌 볼륨매직 |
관리 | |
관리 방법 | 펌 후 전용 샴푸 및 컨디셔너 사용 권장 젖은 상태에서 컬 강화 제품 사용 디퓨저를 사용하여 건조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 |
기타 | |
다른 이름 | 영구 웨이브 (Permanent wave) 파마 |
2. 역사
마르셀 그라토(Marcel Grateau)가 1872년 프랑스 파리에서 실용적인 열 방식을 이용한 펌을 개발하여 후에 미국으로 이민을 가 대중화에 기여하였다.[32][2] 20세기 초 런던에 거주하던 독일인 칼 네슬러(찰스 네슬러)는 아프리카에서 여성이 잔가지에 머리카락을 감아 진흙을 바르고 햇볕에 말려 머리카락을 말리는 것을 보고 "네슬러 웨이브"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붕사와 고열을 사용했으며, 이후 미국에서 널리 보급되었다. 1940년경 미국에서 티오글리콜산을 사용한 "콜드 파마"가 완성되어 현재 파마의 원형이 되었다.[12]
일본에서는 다이쇼 시대 말기에 여성 헤어스타일에 파마 기술이 도입되었다. 1923년(다이쇼 12년) 고베시에서 외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파마 기술이 도입되었다고 전해지지만,[15] 요코하마라는 설도 있다.[16] 당시 파마 기계 종류에는 「쿠로츠키노오루」와 「스파이럴」의 두 종류가 있었다.[15]
메이 우시야마는 1928년(쇼와 3년) 출판한 저서에서 가정에서도 할 수 있었던 「마르셀 파마」등과 함께 「파마」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했다. 「파마」는 매우 어려운 기술로, 미국에서도 보통 미용사는 할 수 없으며, 실패하면 두피를 태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17] 잡지 「부인화보」에서는 1930년(쇼와 5년)에 「파마 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으로 파마 모습을 사진으로 소개했다.[18] 잡지 「신청년」에서는 기계를 사용한 전기 파마의 유효성을 선전하는 기사가 여러 번 게재되었다.
「쿠로츠키노오루」를 사용하는 수법은 당시 최고봉의 파마 기술로 소개되었으며, 소요 시간은 남자가 1시간 30분, 여자가 3시간, 가격은 남자가 8엔, 여자가 10엔으로 고가였지만, 5개월간 유지된다고 한다.[19] 원통형 기계를 사용하는 「스파이럴」은 머리카락을 20개 정도의 롤러에 감고 약품을 적신 패드를 감아 기계에 부착하여 전기를 가한 후, 약품을 사용한 세팅을 하고 말리는 방식이었다. 가격은 십수 엔이었다.[20]
메이 우시야마가 경영하는 긴자의 할리우드 미용실에서는 유진사(ユージン社)제 기계로 파마를 시술했다.[23] 쇼와 11년에는 남성 헤어스타일에도 파마가 도입되었으며, 당시 기술 내용은 스파이럴 히터를 사용하는 방법이었다.[25] 일본에 처음 파마 기술을 소개한 사람은 미국에서 배운 할리우드 미용실의 초대 메이 우시야마인 우시야마 하루코[27]이다. 1935년경, 야마노 미용 강습소(현 야마노 미용 전문학교) 창설자 야마노 아이코가 일본 최초의 국산 파마 기계를 도입하여 일본에 파마 기술을 보급했다.[27]
일본에서는 중일 전쟁 발발 이후 1930년대 후반부터 파마에 반대하는 운동이 일어났고, 1939년에는 "파마는 그만둡시다"라는 말[28]이 유행어가 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마을회 결의에 따라 파마를 한 분은 본 마을 통행을 삼가주십시오"라는 간판이 설치되기도 했다.[29] 1940년경부터 파마는 적성어로서 "전발(덴파츠)"이라고 바꿔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파마 배척 운동은 완전하지 않았고, 1940년 영화 『정전 애마보 새벽에 기도하다』에서는 히로인들이 파마를 하고 등장했다. 태평양 전쟁 중인 1943년에는 제국 육군의 여성 군속들이 파마를 한 머리 모양으로 군무에 종사하는 사진이 게재되기도 했다.[30]
최근에는 웨이브가 있는 머리를 스트레이트 스타일로 바꾸는 경우 스트레이트 파마라고 부르는 등, 화학 반응을 이용한 스타일 변화 자체가 "파마"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디지털 파마나 에어 웨이브 등 다양한 파마 명칭이 있지만, 대부분 상업적인 차별화를 위한 상표명인 경우가 많다. 긴키 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서일본에서는 파마 시술을 "파마를 하다"라고 표현하지만, 동일본에서는 "파마를 걸다"라고 표현한다.
2. 1. 서구에서의 펌의 기원과 발전
1872년, 프랑스의 미용사 마르셀 그라토(Marcel Grateau)가 열을 이용한 초기 펌 방식을 고안했다.[32][2] 그는 특수 제작된 족집게를 이용해 머리카락에 웨이브를 만들었는데, 이 방식은 머리카락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있었지만, 빠른 결과와 저렴한 비용 덕분에 오랫동안 지속되었다.[3]1905년, 독일의 미용사 카를 네슬러는 소의 소변과 물을 섞은 용액을 사용하고, 약 100.0°C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나선형 열 방식' 펌을 발명했다.[5] 이 방식은 긴 머리에만 사용할 수 있었고, 약 0.91kg의 황동 롤러 12개를 사용해 6시간이 걸리는 복잡한 과정이었다. 초기에는 머리카락을 태우거나 두피에 화상을 입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점차 개선되어 런던에서 유행하던 긴 머리 스타일에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네슬러는 독일인이라는 이유로 영국에서 감옥에 갇히고 자산을 몰수당했다. 1915년, 그는 가명을 사용하여 뉴욕으로 탈출했고, 그곳에서 자신의 기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뉴욕에 가게를 열고, 곧 여러 도시에 살롱을 열었으며, 가정용 기계도 개발했다.
1920년대에는 플래퍼들이 짧은 머리(보브)를 유행시키면서, 여성들 사이에서 자기 결정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4] 짧은 머리는 웨이브를 했을 때 더 보기 좋았기 때문에, 펌 기술 개선이 필요했다. 스위스 이민자 유진 수터는 전기식 파마의 가능성을 깨닫고, 스페인 이민자 이시도로 칼베테와 협력하여 새로운 히터를 개발했다. 이 히터는 알루미늄 튜브에 두 개의 권선을 넣어, 머리카락 뿌리 부분을 더 뜨겁게 만들어 펌의 효과를 높였다. 수터는 자신의 이름으로 특허를 받았고, 유진 유한회사를 통해 판매했다.
1930년경까지 대부분의 펌 기술 발전은 경험에 의존했다. 칼베테는 화학자 바리-울스를 고용하여 머리카락의 화학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펌의 기본 요인을 밝혀냈다. 그는 산화-환원 반응을 도입하여 펌 시약에 아황산염 등을 추가했다.
1930년대에는 펌 기술이 확고히 자리 잡았고, 중산층 여성들의 대다수가 펌을 했다. 여러 회사에서 다양한 펌 기계를 개발했으며, Icall은 베이클라이트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높인 기계를 개발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유럽에서는 펌 기계 생산이 중단되었고, 이후에는 가정용 히터 키트나 콜드 웨이브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1938년, 아놀드 F. 윌랫은 열을 사용하지 않는 콜드 웨이브(Cold Wave)를 발명했다.[12] 이 방식은 티오글리콜산 암모늄을 함유한 환원 로션을 사용하여 머리카락의 이황화 결합을 끊고, 과산화수소로 다시 결합시켜 펌을 만드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실온에서 6~8시간이 걸렸으며, 현대 펌 기술의 기반이 되었다.
2. 2. 한국 펌의 역사: 도입, 정착, 그리고 발전
1920년대 후반, 일본을 거쳐 한국에 펌 기술이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외국인 여성이나 상류층을 중심으로 펌이 유행했다.[15][16] 1930년대에는 메이 우시야마(우시야마 하루코)와 야마노 아이코 등 선구적인 미용사들이 펌 기술을 보급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7]일제강점기에는 펌이 사치스러운 행위로 간주되어 탄압받기도 했으나,[28][29] 여성들의 미적 욕구를 완전히 억누르지는 못했다. 1939년에는 "파마는 그만둡시다"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기도 하였고, "마을회 결의에 따라 파마를 한 분은 본 마을 통행을 삼가주십시오"라는 간판이 설치된 사례도 있었다. 1940년경부터는 '전발(덴파츠)'이라고 바꿔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내무성과 육군성이 지도·후원한 1940년 영화에서 히로인들이 파마를 하고 등장하거나, 1943년에는 제국 육군의 여성 군속들이 파마를 한 머리 모양으로 군무에 종사하는 사진이 게재되기도 했다.[30]
해방 이후, 펌은 더욱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스타일과 기술이 개발되어 한국 여성들의 미적 기준과 유행을 선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1990년대 이후, 디지털 펌, 에어 웨이브 등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서 펌은 더욱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되었다.
3. 펌의 원리 및 종류
펌은 머리를 감아도 반영구적으로 웨이브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펌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모발의 시스틴 결합을 환원, 산화시켜 모발 구조를 변화시킨 후 고정하는 방식이다.[10]
헤어 아이론이나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한 일시적인 웨이브와 달리, 펌은 화학적 작용을 통해 모발 구조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머리를 감아도 웨이브가 유지된다.
요즘은 웨이브 머리를 스트레이트 스타일로 바꾸는 스트레이트 펌처럼, 스타일을 바꾸는 것 자체를 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원래부터 웨이브가 있는 머리는 펌이라고 하지 않고 곱슬머리라고 한다. 또한 디지털펌, 볼륨펌 등 다양한 종류의 펌이 개발되고 있다.
펌의 기원은 20세기 초 런던에 거주하던 독일인 칼 네슬러(훗날 미국으로 건너가 찰스 네슬러로 개명)가 아프리카에서 여성이 잔가지에 머리카락을 감아 진흙을 바르고 햇볕에 말려 웨이브를 만드는 것을 보고 착안한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개발한 "네슬러 웨이브"는 붕사와 고열을 사용하였으며, 이후 미국에서 널리 보급되었다.
1940년경에는 티오글리콜산을 사용한 콜드 파마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콜드 파마는 가열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12] 핫 파마는 한때 유행했지만, 반복 시술 시 모발 손상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열 변성보다는 "크리프와 공기 산화 + 그것을 보강하기 위한 열 작용"을 이용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3. 1. 펌의 화학적 원리
펌은 모발의 시스틴 결합을 환원-산화 반응을 통해 변화시켜 형태를 바꾸는 원리이다.[10] 환원제는 모발 내 시스틴 결합을 끊어 모발을 유연하게 만들고, 산화제는 끊어진 결합을 다시 연결하여 새로운 형태로 고정한다.[12]오랫동안 티오글리콜산이나 시스테인을 환원제로 사용한 의약부외품이 펌제의 주류였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 규제 완화로 시스테아민이나 락톤티올 등을 환원제로 사용한 화장품 분류의 파마액도 많이 상품화되었다. 최근에는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알칼리제의 농도를 조절하여 화장품으로 분류되는 시스템도 흔해졌다.[10]
3. 2. 펌의 종류
펌에는 크게 두 가지 과정, 즉 머리를 감는 물리적인 과정과 화학적인 과정이 있다. 이 두 가지 모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요한 물리적 변수로는 사용되는 롯드의 종류, 머리카락을 감는 방법, 엔드 페이퍼의 사용 방법 등이 있다. 가장 흔한 롯드 유형은 스트레이트와 컨케이브이며, 각각 다른 컬 효과를 준다. 머리를 감는 방법에는 스파이럴 또는 크로키놀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엔드 페이퍼와 그 위치를 위의 모든 조합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작은 롯드는 더 작고 촘촘한 컬을 만들고 머리카락이 짧아 보이는 효과를 준다.[10]펌 과정에 사용되는 화학 용액은 고객의 모발 유형과 용액의 pH에 따라 결정된다.
- '''가열 방식에 따른 분류'''
- 디지털 펌: 21세기에 도입되었으며 특히 현대 아시아 문화권에서 사용된다. 이 과정은 일본 회사인 Paimore Ltd.에 의해 특허를 받았다.[13]
- '''화학 약품에 따른 분류'''
- 알칼리 펌: 더 강하고 굵은 모발에 사용된다. 실온에서 작용하며 일반적으로 pH 9-10 범위의 티오글리콜산 암모늄을 포함한다.
- 산성 펌: 더 섬세하거나 얇은 모발에 사용된다. 외부 열 적용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pH 6.5-8.2 범위의 모노티오글리콜산 글리세릴(GMT)을 포함한다. 모노티오글리콜산 글리세릴은 모발의 pH에 가까운 높은 컬링력으로 인해 펌 기술의 최근 혁신으로 간주된다. 이를 통해 펌 과정 동안 모발 큐티클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모발 구조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한다.
- '''기타 펌 종류'''
- 발열성 펌: 자체 타이머 및 자체 가열 방식
- 중성 또는 낮은 pH의 무-티오글리콜레이트 펌
4. 펌 기술 및 도구
최초의 히터는 튜브형이었으며, 이전에 폼이나 컬러에 감겨진 머리카락 위에 삽입되었다. 머리카락은 최대 22개 정도의 섹션으로 빗질되었고, 각 머리카락 묶음은 컬러(머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막대)에 감겨졌다. 머리카락은 두피에 가장 가까운 부분부터 시작하여 나선형으로 컬러 위로 감겼는데, 이 방식을 뿌리 감기라고 불렀다.[9]
1924년경에는 체코 미용사 요세프 마이어가 고안한 포인트 감기 방식이 사용되었다. 머리카락 끝을 롤러에 고정하고, 롤러를 감아 클램프에 닿게 하는 방식이었다. 칼베테는 이 방법을 위해 크로키놀 히터를 설계했는데, 이는 불독 클립처럼 감개 위에 맞았다. 머리 측면의 일부 튜브형 히터를 크로키놀형으로 교체하여 스타일링의 범위를 넓혔다.[9]
thumb
초기에는 컬을 위한 지지 시스템이 천장에 고정되었지만, 곧 샹들리에라고 불리는 원형 장치를 지탱하는 수직 금속 파이프가 달린 기계로 대체되었다. 이 기계는 바퀴가 달린 받침대에 장착되어 이동이 용이했다. 샹들리에는 히터에 전기를 분배하고, 모든 히터를 올바른 위치와 방향으로 유지하는 구조를 제공했다. 초기 모델은 몇 개의 튜브형 히터만 있었지만, 파마 과정이 대중화되면서 최대 22개의 히터(일부는 크로키놀일 수 있음)를 사용하여 머리 전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5. 펌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의미
1872년, 마르셀 그라토는 특수 제작된 족집게를 가열하여 머리카락에 웨이브를 만드는 열 펌 방식을 처음으로 개발했다.[2] 이 방식은 머리카락 손상에도 불구하고 빠른 결과와 저렴한 비용으로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다.[3]
1920년대 서구 사회에서는 여성들이 보브 스타일로 머리를 짧게 자르는 것이 유행했는데, 이는 전통에 대한 반항이자 자기 결정에 대한 요구를 보여주는 상징이었다.[4] 제1차 세계 대전 중 여성들이 남성들의 일을 대신하면서 짧은 머리가 실용적인 이유로도 선호되었다. 또한, 전기의 보급으로 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난방과 전동기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짧은 머리에 웨이브를 넣어 외모를 개선하는 펌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thumb
5. 1. 펌과 여성의 사회 진출
1920년대 서구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펌은 여성의 자기 표현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상징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한국에서도 펌은 근대 여성의 새로운 이미지를 대표하며, 여성의 사회 참여와 자아 표현 욕구를 반영하는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5. 2. 펌과 유행, 그리고 미적 기준의 변화
유진 수터는 런던 웨스트 엔드에서 여성 미용실을 운영하며 유행을 선도하던 스위스 이민자였다. 그는 파리 출신이라고 주장하며, 전기식 파마의 가능성을 일찍이 알아차렸다. 초기에는 히터 설계에 실패했지만, 1917년 런던에서 전기 장비 공방을 운영하던 스페인 이민자 이시도로 칼베테와 협력하여 실용적인 히터 모델을 개발했다.[6] 칼베테가 설계한 히터는 알루미늄 튜브에 두 개의 권선을 삽입한 형태로, 머리카락 뿌리 부분이 끝부분보다 더 뜨거워지도록 설계되었다. 유진은 이 디자인의 특허를 획득하고, 자신의 회사인 '유진 유한회사'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며 파마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thumb
thumb
유진 회사는 에지웨어 로드에 공장을 두고,[6] 컬러 린스, 샴푸, 세팅 로션, 특허받은 스팀 파우치, 컬 및 전기 드라이어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했다. 또한, 자체 잡지인 ''유진 웨이버''를 발행하여 미용사들에게 유진 제품 사용법, 스타일링 기술, 미용 트렌드 정보를 제공했다. V&A 박물관의 국립 미술 도서관에는 1928년부터 1947년까지의 잡지가 소장되어 있다.[7]
유진은 미국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네슬러와 경쟁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그는 칼베테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특허 침해 소송에서 네슬러에게 승소하기도 했다. 1945년 《굿 하우스키핑》 잡지에 실린 유진 회사의 광고는 "크리스마스에 무엇을 원하세요? 아, 유진 파마요!"라는 문구만으로 구성될 정도로 인지도가 높았다.[8]
5. 3. 펌, 그리고 젠더 논쟁
펌은 단순한 미용 기술을 넘어, 젠더 및 사회적 규범과 관련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펌 유행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했으며, 이는 펌이 여성의 외모와 관련된 사회적 기대를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6. 펌 관련 용어
참조
[1]
웹사이트
Lets Talk Curly Perms, Are They A Real Alternative To A Relaxer?
https://blackhairinf[...]
2018-07-23
[2]
서적
The Art and Craft of Hairdressing
Pitman
1938
[3]
웹사이트
victorian piece 1
https://web.archive.[...]
Hairarchives.com
2009-08-20
[4]
뉴스
The History of the Flapper, Part 4: Emboldened by the Bob
https://www.smithson[...]
2019-05-26
[5]
간행물
A Revolutionist Dies
https://books.google[...]
Time Inc
1951-02-05
[6]
웹사이트
The premises of Eugene Limited viewed from Edgware Road (BL34206/002) Archive Item - The Bedford Lemere Collection {{!}} Historic England
https://historicengl[...]
2023-11-06
[7]
웹사이트
'"Have you done something jolly with your hair?": the Eugène Waver magazine in the National Art Library\'s Trade Literature Collection • V&A Blog'
https://www.vam.ac.u[...]
2023-11-06
[8]
간행물
Advertisement
1945-12
[9]
웹사이트
NATIONAL HAIRDRESSERS' & COSMETOLOGISTS' v. PHILAD CO.
https://archive.toda[...]
2009-09-18
[10]
서적
The Manual of the Permanent Waver 1st edition
Westminster City Publishing Co.
1934-08
[11]
웹사이트
Conservation OnLine - CoOL
http://palimpsest.st[...]
Palimpsest.stanford.edu
2014-06-10
[12]
뉴스
Arnold F. Willat, 102; Cold Hair Wave Developer
https://www.latimes.[...]
Associated Press
1988-03-13
[13]
웹사이트
Paimore Ltd. website in Japan
https://web.archive.[...]
Paimore.com
2009-08-20
[14]
웹사이트
1958 Ad Vintage Pace Home Permanent Hair Curl Wave End Papers Procter YPP4
https://www.periodpa[...]
[15]
서적
洋髪の歴史
雄山閣出版株式会社
1971
[16]
웹사이트
パーマの歴史
http://119.245.140.1[...]
日本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液工業組合
2021-04-25
[17]
서적
近代美容法
万里閣書房
昭和3年
[18]
웹사이트
婦人画報創刊115周年記念企画 美容編・第4回-1
https://www.fujingah[...]
2021-04-25
[19]
간행물
ヴォガンヴォグ
[20]
간행물
ヴォガンヴォグ
[21]
간행물
ヴォガンヴォグ
[22]
서적
永遠に「新青年」なるもの
県立神奈川近代文学館
2021-03
[23]
웹사이트
婦人画報創刊115周年記念企画 美容編・第4回 -2
https://www.fujingah[...]
2021-04-25
[24]
웹사이트
婦人画報創刊115周年記念企画 美容編・第4回-3
https://www.fujingah[...]
2021-04-25
[25]
서적
日本の理髪風俗
雄山閣出版株式会社
1972
[26]
웹사이트
婦人画報創刊115周年記念企画 美容編・第4回-5
https://www.fujingah[...]
2021-04-25
[27]
문서
『写真でみる日本生活図引』
弘文堂
1988-1989
[28]
웹사이트
自粛させられたおしゃれ
http://www.po-holdin[...]
ポーラ文化研究所
2017-09-22
[29]
문서
京成電鉄85年の歩み
京成電鉄
[30]
웹사이트
これ、天然なんです(笑) 美しい黒髪を守る16万おまけ
http://www.warbirds.[...]
[31]
뉴스
パーマネント追放で資生堂美容部が廃業
毎日新聞(東京)
1943-01-29
[32]
서적
The Art and Craft of Hairdressing
Pitman
19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